이번 포스팅에서는 RT1, RT2, RT3 & RT4에 대해서 작성해 보려 한다.
ASME Job을 진행하게 된다면, NAMEPLATE에 RT1 ~ RT4에 대해서 Marking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이 내용을 제대로 숙지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RT는 Radiographic Testing의 약자로, NDT (비파괴 시험)의 여러 검사 방법 중 하나이다.
ASME Code에서는 RT에 대해서 총 4단계로 구분을 하며, 적용 조건은 아래와 같다.
1. RT 4단계에 대한 적용 조건은?
RT No. | 적용 조건. |
RT1 | UW-11(a)의 조건에 만족하는 경우 적용한다. 1. UW-11(a)(1) : Lethal Service 인 경우 모든 맞대기 용접부 Full RT 적용. [ UW-2(a) 참조. ] 2. UW-11(a)(2) : Shell or Head의 Nominal Th'k (공칭 두께)가 38t를 초과하거나, UCS-57에서 제시 한 두께 (P No.1 기준 32t 이상) 를 초과할 경우 1) UHT-57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 UHT-57 : 열처리에 의해 고양된 인장특성을 가진 페라이트 강으로 제작 된 압력용기. - UHT-57 (a) : 모든 용접부에 대해서 Table. UW-12, Type (1) & 적용 시 Full RT 적용. (UHT-57 자재를 사용하고 용접 효율 1.0 일 경우로 판단됨.) 2) ULT-57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 ULT-57 : 저온에서 더 높은 허용응력을 갖는 재료. - ULT-57 (a) : 모든 맞대기 용접부에 대해서 Full RT 적용. 3. UW-11(a)(3) : 1) 설계압력이 50 psi.g를 초과하는 비직화식 증기 보일러의 Shell & Head 2) 설계압력이 50 psi.g를 이하이지만, UW-11(a)(2)의 두께 조건에 포함되는 비직화식 증기 보일러의 Shell & Head 4. UW-11(a)(4) : UW-11(a)(1) ~ (3)에 따라서 Full RT가 진행되는 Shell or Head에 부착되는 Nozzle, Communication Chamber등 의 모든 맞대기 용접부는 Full RT 적용. 단, UHT-57 (a)에 의한 요구사항을 제외하고, Nozzle, Communication Chamber가 NPS 10" 이하이거나, Wall Th'k가 29t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의 Category B or C의 맞대기 용접부는 RT를 적용하지 않는다. 5. UW-11(a)(5) : UW-12(a)에서 허용하는 Joint Efficiency를 기반으로 하는 Category A or D를 적용하는 경우 아래 케이스를 적용할 수 있다. 1) UW-11(a)(5)(-a) : Shell or Head를 연결하는 Category A & B는 Table UW-12의 용접 Type (1) or 용접 Type (2)가 적용되어야 한다. 2) UW-11(a)(5)(-b) : Category A와 만나는 Category B or C에 대해서는 최소 Spot RT 적용이 가능하다. |
RT2 | UW-11(a)(5)의 조건에 만족하는 경우 적용한다. 1. UW-11(a)(5) : UW-12(a)에서 허용하는 Joint Efficiencies를 기반으로 하는 Category A or D를 적용하는 경우 아래 케이스를 적용할 수 있다. 1) UW-11(a)(5)(-a) : Shell or Head를 연결하는 Category A & B는 Table UW-12의 용접 Type (1) or 용접 Type (2)가 적용되어야 한다. 2) UW-11(a)(5)(-b) : Category A와 만나는 Category B or C에 대해서는 최소 Spot RT 적용이 가능하다. |
RT3 | 1. UW-11(a)(5)의 조건을 제외하고, UW-11(a)에 의한 Full RT를 적용하지 않고, Table UW-12의 용접 Type (1) or Type (2) 로 Category A or D를 맞대기 용접한 경우 Spot RT를 적용. |
RT4 | 1. RT 2 ~ RT 3의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
위 표를 통해서 RT1 ~ RT4의 적용 조건에 대해 알아 보았는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Category 와 Joint Efficeincy에 대해 알고있어야, 더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2. Category 란?
Catogory는 기계장치의 용접 구갈별로 부여된 일종의 고유번호(?) 혹은 고유명칭 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용접 방식마다 어느 위치에 붙느냐에 따라서 번호가 바뀌게 되며, 아래 그림과 설명을 통해 이해해보자.
위 그림에 보이는 A, B, C & D 가 고유번호 혹은 고유명칭 이라고 보면 된다.
Category A Joint : L.W.L (Longitudinal Welding Line)
Shell을 Plate로 말아서 용접하는 경우 생기는 L.W.L의 용접부
Category B Joint : C.W.L (Circumferential Welding Line)
Shell to Shell, Shell to Head & Pipe to Welding Neck Flange 와 같이 원형으로 용접되는 구간
Category C Joint : Fillet Weld 구간
예로 Tube Sheet to Shell, Pipe to Slip on Flange (or Socket Weld Flange) 등..
Category D Joint : Shell to Nozzle Pipe, Shell to Communication Chamber의 용접 구간.
(Shell이나 Head에 Opening이 되어 용접 되는 부분이라 생각하면 쉽다.)
3. Joint Efficeincy 란?
Joint Efficeincy는 말 그대로 용접 효율이다.
용접 하는 부분에 대한 용접 효율을 얼마로 지정할 것인지? 설계자가 선정을 하거나,
Job Spec.에 기입된 내용을 선정하거나, 하는 방식으로 결정이 된다.
ASME SEC.VIII DIV.1 - Table UW-12를 보면 총 8가지의 Type으로 구분되지만,
Type No. 1 ~ 3만 정리하고 이해해보자.
Type No.1 : Full Penetration or Double Weld, No Backing Strip
Joint Efficiency : Full - 1.0, Spot - 0.85, None - 0.7
Type No.2 : Single Weld + Backing Strip or Type 1에 해당하지 않는 용접 방법.
Joint Efficiency : Full - 0.9, Spot - 0.8, None - 0.65
Type No.3 : Single Weld + Backing Strip (용접 후 제거) or Type 1에 해당하지 않는 용접 방법.
Joint Efficiency : Full - 0.9, Spot - 0.8, None - 0.65
4. RT 1 ~ RT 4 를 조금 더 쉽게 표로 보자!
L.W.L Joint | C.W.L Joint | Head to Shell Joint | ||
RT1 | RT | Full / UW-11(a) | Full / UW-11(a) | Full / UW-11(a) |
Joint Efficiency | 1.0 | 1.0 | 1.0 | |
RT2 | RT | Full / UW-11(a) | Full / UW-11(a) | Spot / UW-11(a)(5)(b) |
Joint Efficiency | 1.0 | 1.0 | 1.0 | |
RT3 | RT | Spot / UW-11(b) | Spot / UW-11(b) | Spot / UW-11(b) |
Joint Efficiency | 0.85 | 0.85 | 0.85 | |
RT4 | RT | Spot / UW-11(b) | Spot / UW-11(b) | Spot / UW-11(a)(5)(b) |
Joint Efficiency | 0.85 | 0.85 | 1.0 |
* 위 표 내용 중 RT4는 RT2 ~ RT3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중 하나일뿐,
이 외 다른 조건도 있으니 참고로만 보자.
위 내용 중 RT4는 RT2 ~ RT3 조건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인데...
왜 Head to Shell Joint에 " Spot / UW-11(a)(5)(b), 1.0 " 이 되었을까? 라는 의문이 생길 수 있다..
기본적으로 RT4가 되려면 L.W.L Joint는 Full이 적용될 수 없고,
Spot / UW-11(a)(5)(b)가 올 수 없다고 생각해서 였는데,
* ASME SEC.VIII DIV.1 / UW-12 (d)
Seamless vessel sections or heads shall be considered equivalent to welded parts of the same geometry
in which all Category A welds are Type No. 1. For calculations involving circumferential stress
in seamless vessel sections or for thickness of
seamless heads, E = 1.0 when the spot radiography requirements of UW-11(a)(5)(-b) are met.
E = 0.85 when the spot radiography requirements of UW-11(a)(5)(-b) are not met,
or when the Category A orB welds connecting seamless vessel sections or
heads are Type No. 3, 4, 5, 6, or 8 of Table UW-12.
위 UW-12 (d)의 내용 중
" E = 1.0 when the spot radiography requirements of UW-11(a)(5)(-b) are met. "
라는 문구 때문에, Spot / UW-11(a)(5)(b)를 적용할 수 있다. 단..Spot / UW-11(a)(5)(b)가 적용되려면,
Category A 용접부가 Type No.1 (Joint Efficiency - 1.0)로 적용되어야 하며, Head의 Joint Efficiency가 1.0
이 되어야만 적용 가능하다.
What do you want a meaning for? Life is a desire not a meaning.
- Charles Chaplin -
1. 나도 다시 한번 공부하자..
2. 미래의 후배를 위해서 남겨놓자..
3. 누군가에게 도움이 된다면..
내용 중 문의사항이나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Comment 바랍니다.
'ASME Co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RT (Radiographic Testing) (0) | 2022.01.06 |
---|---|
P.W.H.T (Post Weld Heat Treatment) / 용접 후 열처리 (0) | 2022.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