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SME Code

RT (Radiographic Testing)

by Dear.John 2022. 1. 6.

앞서 RT 1 ~ RT 4에 대해 다룬 바 있으나,

 

이번에는 Full RT와 Spot RT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과 예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자.

 

1. Full RT

  1) ASME SEC.VIII DIV.1 UW-11(a) 참조.

  2) Code 내용을 보면 "UW-51에 규정된 방식으로 전체 길이에 대해 방사선 검사를 진행해야 한다" 

     라고 되어 있고, 용접부 전체 길이에 대해 RT촬영을 하면 된다.

ASME SEC.VIII DIV.1 UW-11

  3) UW-11(b) 이후부터는 어떤 조건에서 Full RT가 적용되는지, 어떤 조건에서는 Full RT가 아닌 Spot RT가 되는지

     와 같은 내용이 있으며, 상세 내용은 아래 " RT1, RT2, RT3 & RT4 에 대해서 " 링크 참고.

 

https://dearjohn.tistory.com/2

 

RT1, RT2, RT3 & RT4 에 대해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RT1, RT2, RT3 & RT4에 대해서 작성해 보려 한다. ASME Job을 진행하게 된다면, NAMEPLATE에 RT1 ~ RT4에 대해서 Marking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이 내용을 제대로 숙지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

dearjohn.tistory.com

  4) UW-51은 RT를 어떻게 해야하고, 결함에 대해서는 어떻게 처리를 해야하는지와 같은 내용이 작성되어 있는데,

     설계자 입장에서도 알고 있으면 도움은 되겠지만, 보통 QC 업무이므로,,,UW-51에 대한 내용은 생략..

 

2. Spot RT

  1) ASME SEC.VIII DIV.1 UW-11(b) / UW-52 참조.

  2) UW-11(b) 내용은 Spot 촬영 조건에 대해 말하고 있으므로, 위 링크 " RT1, RT2, RT3 & RT4 에 대해서 "

     참고하여 다시 한번 읽어보는 것으로 하고, 이 장에서 중요한 것은 " UW-52 " 이다.

  3) UW-52(b)(1)에서는 Spot RT의 촬영 기준이 나옵니다. (아래 사진 참조.)

      - Table UW-12에서 (b)열의 Joint Efficiency가 선택된 경우 15m 길이 당 하나의 지점에 검사를 해야한다.

ASME SEC.VIII DIV.1 UW-52 - SPOT EXAMINATION OF WELDED JOINTS

      - 중요한 내용은 "15m 길이 당 1장을 촬영한다"는 내용인데, 여기서 의미하는 15m의 기준은 어떤 기준일까?

        15m의 기준은 용접부의 총 길이..즉, C.W.L과 L.W.L을 모두 합친 길이를 의미한다.

     

그렇다면..총 용접부의 길이가 15m이하면, 1장만 촬영하면 되겠네??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Head to Shell Joint 또는 Shell to Shell Joint (Category B Joint)에 대해서는

 

UW-11(a)(5)(b) 조항으로 인해, 해당 B Joint에 최소 Spot 촬영을 해야 하므로, 총 용접부의 길이가 15m라 하더라도, 

 

총 3매 (각 Point별 1매)를 촬영해야 하는 것이 맞습니다.

 

3. 일반적인 RT 촬영 조건에 대한 예를 통해서 쉽게 알아보자.

  1) Case 1 : C.W.L - Full / L.W.L - Full

     - 전체 용접부 Full RT 진행.

 

  2) Case 2 : C.W.L - Full / L.W.L - Spot

     - C.W.L 은 Full로 촬영하며, L.W.L은 Spot으로 촬영을 한다.

     - L.W.L 촬영 위치는 어떻게 정해야 할까?

       -> ASME 심사를 받거나, 제3의 검사자가 있는 경우에는 위치를 지정 받아야 하는 것이 FM이다.

          (검사자가 Visual Inspection을 진행한 후 가장 취약해 보이는 용접부를 지정하는 것이 일반적임.)

       -> 별도의 검사가 없거나,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제조사에서 임의의 위치를 지정해서 촬영한다.

 

  3) Case 3 : C.W.L - Spot / L.W.L - Spot

     - C.W.L 은 Spot로 촬영하며, L.W.L은 Spot으로 촬영을 한다.

     - L.W.L 촬영 위치는 어떻게 정해야 할까?

       -> ASME 심사를 받거나, 제3의 검사자가 있는 경우에는 위치를 지정 받아야 하는 것이 FM이다.

          (검사자가 Visual Inspection을 진행한 후 가장 취약해 보이는 용접부를 지정하는 것이 일반적임.)

       -> 별도의 검사가 없거나,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제조사에서 임의의 위치를 지정해서 촬영한다.

     - C.W.L 촬영 위치는 어떻게 정해야 할까?

       -> L.W.L과 동일한 방식이다.

       -> 하지만, 통상 T Cross (C.W.L과 L.W.L이 만나는 지점)을 가장 취약한 지점으로 보며,

           대부분 이 T Cross에 Spot RT 촬영을 진행한다.

 

What do you want a meaning for? Life is a desire not a meaning.
- Charles Chaplin -

1. 나도 다시 한번 공부하자..

2. 미래의 후배를 위해서 남겨놓자..

3. 누군가에게 도움이 된다면..

 

내용 중 문의사항이나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Comment 바랍니다.

 

'ASME Co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W.H.T (Post Weld Heat Treatment) / 용접 후 열처리  (0) 2022.01.06
RT1, RT2, RT3 & RT4 에 대해서  (0) 2021.12.28